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설날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 위치 의미 전통 기본 구성 간소화 버전 소개 초 향 사진 수저 방향

by GRE-EN 2025. 1. 27.

명절 차례상

 

설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위치 의미

설 명절의 차례상은 조상을 기리고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전통 문화로, 각 음식을 특정 위치에 배치하며 예를 갖춥니다. 아래는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과 각 위치의 의미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1. 차례상 기본 구성

차례상

차례상은 일반적으로 다섯 줄로 배치하며, 각 줄에는 의미 있는 음식이 놓입니다. 상차림은 ‘조율이시(棗栗梨柿)’의 기본 원칙과 함께 음양오행 사상을 반영합니다.

(1) 첫 번째 줄 (신위 앞줄)

  • 주류 및 술잔 (향, 술, 잔대)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가장 중요한 위치로, 술과 향을 놓습니다. 술은 한 잔씩 올리고 내리는 절차를 통해 예를 표합니다.

(2) 두 번째 줄 (밥과 국)

  • 밥과 국
    주식에 해당하는 쌀밥과 미역국, 탕류를 놓습니다. 밥은 신위 가까이 두며, 조상에게 올리는 첫 번째 음식입니다.

(3) 세 번째 줄 (탕류)

  • 육탕, 어탕, 채소탕
    육류, 생선, 채소를 재료로 한 국물이 있는 음식을 올립니다. 다양한 탕은 조상의 기호를 존중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4) 네 번째 줄 (전과 적)

  • 전과 산적 등 부침 요리
    기름에 지진 전과 적을 놓습니다. 주로 고기전, 생선전, 동그랑땡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합니다.

(5) 다섯 번째 줄 (과일과 한과)

  • 조율이시 (대추, 밤, 배, 곶감)
    조율이시의 원칙에 따라 과일과 떡, 한과를 준비합니다. 과일은 동그란 형태로, 한과는 정성을 담아 만든 전통 과자로 상징적 의미를 더합니다.

2. 차례상 음식 배치 방법

  1. 좌포우혜 (左脯右醯)
    육포는 좌측, 식혜는 우측에 배치합니다. 이는 동양의 전통적 배치 규칙을 반영한 것입니다.
  2.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생선은 머리가 신위 방향(동쪽)을 향하도록 두며, 꼬리는 서쪽으로 둡니다. 이는 음양 조화를 상징합니다.
  3. 홍동백서 (紅東白西)
    붉은색 음식은 동쪽에, 흰색 음식은 서쪽에 배치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는 동쪽, 배는 서쪽에 둡니다.
  4. 조율이시 (棗栗梨柿)
    대추, 밤, 배, 곶감은 각각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앞줄에 차례대로 놓습니다.
  5. 탕류는 홀수로 준비
    탕은 1~3개로 준비하며, 중앙에 육탕을, 좌우에 어탕과 채소탕을 둡니다.

3. 차례상 위치의 상징적 의미

  • 첫 번째 줄: 조상의 자리로 숭고한 의미를 가지며, 예를 표하는 중심 위치입니다.
  • 중앙 탕류: 조상을 모시는 음식을 대표하며, 풍성함과 조화로움을 상징합니다.
  • 전과 과일 줄: 후손의 정성을 표현하며, 단맛과 풍요를 나타냅니다.

4. 차례상 주의사항

  1. 음식의 개수와 크기 조정
    홀수를 기본으로 하되, 각 가문의 전통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 금기 사항
    고춧가루, 마늘 등 매운 재료는 조상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져 사용하지 않습니다.
  3. 청결 유지
    차례 음식은 깨끗하게 준비하여 정성을 담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례상 구성 정리

차례상

번호 위치 의미 음식 종류 예시 음식
1 신위 앞줄 (예를 표함) 술과 잔대 전통주,
2 밥과 주식 , 미역국
3 탕류 조화와 풍요 상징 육탕, 어탕, 채소탕
4 전과 부침 요리 동그랑땡, 생선전, 산적
5 과일과 한과 정성과 풍요의 상징 대추, , , 곶감, 한과

 

설 명절의 차례상은 조상을 기리는 중요한 의식으로,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간소화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에 두 가지 상차림 방법과 그에 따른 위치의 의미를 정리하였습니다.

 


5. 전통적인 차례상 차림

전통적인 차례상은 다섯 줄로 구성되며, 각 줄마다 특정한 음식을 배치합니다.

(1) 첫 번째 줄 (신위 앞줄)

  • 주류 및 술잔 (향, 술, 잔대):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가장 중요한 위치로, 술과 향을 놓습니다.

(2) 두 번째 줄 (밥과 국)

  • 밥과 국: 주식에 해당하는 쌀밥과 미역국, 탕류를 놓습니다.

(3) 세 번째 줄 (탕류)

  • 육탕, 어탕, 채소탕: 육류, 생선, 채소를 재료로 한 국물이 있는 음식을 올립니다.

(4) 네 번째 줄 (전과 적)

  • 전과 산적 등 부침 요리: 기름에 지진 전과 적을 놓습니다.

(5) 다섯 번째 줄 (과일과 한과)

  • 조율이시 (대추, 밤, 배, 곶감): 과일과 떡, 한과를 준비합니다.

음식 배치 원칙:

  • 좌포우혜 (左脯右醯): 육포는 좌측, 식혜는 우측에 배치합니다.
  •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생선은 머리가 신위 방향(동쪽)을 향하도록 둡니다.
  • 홍동백서 (紅東白西): 붉은색 음식은 동쪽에, 흰색 음식은 서쪽에 배치합니다.
  • 조율이시 (棗栗梨柿): 대추, 밤, 배, 곶감은 앞줄에 차례대로 놓습니다.
  • 탕류는 홀수로 준비: 탕은 1~3개로 준비하며, 중앙에 육탕을, 좌우에 어탕과 채소탕을 둡니다.

6. 간소화된 차례상 차림

차례상

현대에는 생활 양식의 변화로 차례상을 간소화하는 추세입니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간소화된 차례상을 제안하였습니다.

기본 구성:

  • 주류 및 술잔: 전통주와 잔
  • 떡국: 밥과 국 대신 떡국을 올립니다.
  • 나물: 시금치나물, 고사리나물 등
  • 구이: 생선구이 또는 육류구이
  • 김치: 배추김치 또는 무김치
  • 과일: 사과, 배 등 계절 과일

추가 가능 항목:

  • 육류 또는 생선: 가족의 선호에 따라 추가
  • : 송편 등

음식 배치 원칙:

  • 전통적인 배치 원칙에 얽매이지 않고, 가족의 합의에 따라 편리하게 배치합니다.

이러한 간소화된 차례상은 준비의 부담을 줄이고, 가족 간의 화합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나 배치에 있지 않으며, 정성과 예의를 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 차례상에서 신위, 초, 향, 수저, 사진 등의 위치와 방향

조상을 기리는 설 차례상에서는 신위를 중심으로 초, 향, 수저, 사진 등의 배치가 중요합니다. 각 요소는 상징적 의미와 함께 엄격한 규칙에 따라 배치되며, 아래에 그 자세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1. 신위 (神位)

  • 의미: 조상의 영혼을 모시는 자리로, 차례상의 가장 중심에 위치합니다.
  • 배치 방법:
    • 상의 맨 윗줄 중앙에 위치.
    • 신위를 놓는 대신, 가정에 따라 사진(조상님의 영정 사진)을 올리기도 합니다.
    • 사진을 사용하는 경우, 사진의 정면이 가족을 향하도록 배치합니다.
  • 종이 신위 사용 시: 정갈한 종이에 조상의 이름을 적어 올립니다.

2. 초 (촛대)

  • 의미: 조상님을 초대하는 상징으로, 빛을 통해 길을 비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 배치 방법:
    • 신위 앞 양쪽에 하나씩 놓습니다.
    • 좌측과 우측 촛대의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 왼쪽 촛대에 불을 먼저 켜고, 오른쪽 촛대에 불을 켭니다.

3. 향 (향로)

  • 의미: 향은 조상님께 올리는 정성과 마음을 상징하며, 영혼과 교감하는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 배치 방법:
    • 신위 앞 중앙에 배치합니다.
    • 신위와 가까운 방향에 놓으며, 향로는 작은 접시에 담은 향로를 사용합니다.
    • 향을 세 개 꽂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하늘, 땅, 사람을 의미합니다.

4. 수저

  • 의미: 조상님께 드릴 식사를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 배치 방법:
    • 밥그릇 위에 젓가락을 가로로 올려 둡니다.
    • 밥 위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나란히 두며, 젓가락은 밥그릇의 윗부분에 올립니다.
    • 숟가락의 볼 부분은 왼쪽으로 향하도록 배치합니다.

5. 사진

  • 의미: 조상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상징하는 요소입니다.
  • 배치 방법:
    • 신위 자리에 대신 두며, 신위와 동일하게 중앙에 배치합니다.
    • 사진이 가족을 향하도록 위치시키며, 너무 높은 위치에 두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사진이 없는 경우: 신위나 상징적인 물품(예: 이름이 적힌 패)을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상차림 방향

  • 차례상의 정면: 조상님께서 상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준비하며, 가족은 조상님을 마주 보는 형태로 앉습니다.
  • 좌우 구분:
    • 좌(왼쪽): 포, 적, 붉은색 계열 음식 (양의 기운을 상징).
    • 우(오른쪽): 혜, 흰색 계열 음식 (음의 기운을 상징).
  • 생선 방향:
    • 생선의 머리는 동쪽(조상님 방향), 꼬리는 **서쪽(가족 방향)**으로 둡니다.

신위, 초, 향, 수저, 사진 등의 위치와 방향 참고 표

위치 배치 항목 의미 방향 규칙
중앙 신위 또는 사진 조상의 영혼을 모시는 중심 자리 정면을 향하며, 상단에 배치
좌우 조상을 초대하는 상징 왼쪽오른쪽 순으로 불을 켜고 균형 맞춤
중앙 정성과 교감의 상징 신위 중앙에 배치, 3 사용
밥그릇 수저 식사를 상징 숟가락은 왼쪽, 젓가락은 오른쪽으로 배치
중앙 사진 조상을 시각적으로 상징 가족을 향하도록 배치